<p></p><br /><br />뉴스 분석 오늘의 에디터, 정치부 김성진 차장입니다. 김 차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<br>오늘의 키워드는 <숨바꼭질> 입니다. 판문점 선언 때 남북은 단계적 군축을 명시했습니다. <br> <br>군비 축소가 약속대로 잘 지켜지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사찰인데 한미가 관련 훈련을 한 겁니다. <br> <br>한마디로 제한된 시간에 꼭꼭 숨긴 무기를 찾아내는 연습을 한 겁입니다. <br><br>[질문1]그런데 왜 유럽에서 훈련한 겁니까? <br> <br>이번 훈련은 네덜란드와 독일 미군 기지에서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우리는 이번에 술래로 무기를 찾고 대조하는 사찰 임무를 맡았고 미국은 북한의 주한미군 사찰에 대비해 사찰받는 훈련을 한 겁니다. <br> <br>그러다 보니 훈련 효과 극대화를 위해 사전 정보가 없는 낯선 곳을 택한 겁니다. <br> <br>쉽게 설명하면 우리 국방부가 한번도 가보지 못한 북한의 양강도와 자강도에 있는 북한 기지를 가서 맞는지 숨긴건 없는지 확인하는 연습을 실전처럼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2]그럼 우리 사찰팀이 가서 정확히 뭘 한 겁니까? <br><br>네. 먼저 72시간 전에 사찰을 통보합니다. <br> <br>그리고 사찰 장비 등을 갖고 입국한 뒤 24시간 현장 사찰을 합니다. <br> <br>사전에 위성 사진을 보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차와 장갑차, 화포가 애초 합의한 282대, 그 숫자대로 운용되고 있는지 실제로 대조하는 겁니다. <br> <br>이때 유사 모델은 아닌지 숨긴 건 없는지 찾는 능력도 연습한 겁니다. <br><br>[질문3]핵심은 북한 비핵화인데 왜 뜬금없이 재래식 무기 감축을 전제로 훈련하는 거죠? <br> <br>남북간 전력 불균형 때문입니다. <br> <br>북한은 숫자는 훨씬 많지만 최신 장비로 무장한 우리보다 재래식 전력을 열세입니다. <br> <br>여기다 우리는 주한미군까지 있습니다. <br> <br>북한의 대신 우리에게 없는 비대칭 전력, 화학무기와 핵무기로 전력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. <br> <br>결국, 북한의 핵무기 제거를 위해선 우리의 재래식 무기 그리고 주한미군의 위협도 함께 낮춰야 하는 겁니다. <br> <br>북미 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미국에 요구한 건 두 가지입니다. <br> <br>바로 체제보장과 군사위협 제거인데 이것만 약속하면 핵을 포기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대칭과 균형을 맞춰야 하는 쉽지 않은 매칭 게임을 앞두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정치부 김성진 차장이었습니다. <br>